본문 바로가기

알면쓸모있는정보

기초연금과 노령연금 차이점 : 신청방법까지 총 정리해드립니다.

 

기초연금 vs 노령연금 차이점 총 정리! 신청방법까지 한눈에 알아보기

 

노후를 준비하면서 가장 많이 듣게 되는 말이 바로 기초연금과 노령연금입니다.

이름은 비슷해보이지만 두 제도는 대상, 지급 조건, 지급액 등이 명확히 다릅니다.

이 두 연금의 차이점을 쉽게 비교하고, 신청 방법까지 한 번에 정리해드릴게요.

 

✅ 기초연금과 노령연금 뭐가 다를까?

구분 기초연금 노령연금
제공 주체 정부(보건복지부) 국민연금공단
대상 만 65세 이상, 소득 재산 기준충족자  국민연금 가입이력이 있는 자 
지급 조건  나이+소득인정액이 일정 기준이하  나이+최소 10년 이상 가입(120개월)
지급 시기  만 65세부터 만 60세~65세 사이
지급액 최대 월 334,000원
(2025년 기준, 단독가구)
가입 기간과 납입 금액에 따라 다름
신청처 주민센터 or 복지로 국민연금공단 or NPS 홈페이지
중복수령  가능(단, 일부 감액될 수 있음) 기초연금과 함께 수령 가능(감액 여부 있음)

 

🧐 기초연금이란?

소득이 적은 어르신들의 안정된 노후생활을 위해 정부가매월 일정금액을 지원하는 제도

만 65세 이상이면서, 소득인정액이 일정 기준 이하인 분들이 대상

 

2025년 기초연금 주요 기준

- 소득인정액 기준: 단독가구 월 228만원 이하, 부부가구 364.8만원 이하

- 지급액: 최대 월 334,000원

참고로 부부가 모두 수급자일 경우 각각 일부 감액될수 있음.

기초연금 모의계산하기
기초연금 모의계산 바로가기

🧐 기초연금 신청방법

1. 신청시기: 만 65세 생일이 속한 달의 1개월 전부터 신청 가능

2. 신청처:

- 주소지 읍면동 주민센터

3. 필요서류:

- 신분증, 통장사본, 소득재산 관련서류

4. 온라인신청: 복지로 홈페이지

복지로 사이트 바로가기
복지로 사이트 바로가기


✔️ 노령연금이란?

노령연금은 국민연금 가입자가 일정 기간 이상 보험료를 납부한 뒤, 만 60세~65세부터 매월 지급받는 연금

 

- 가입기간: 최소 10년(120개월) 이상

- 지급시기: 1953년생까지(만 60세), 1954~1968년생: 단계적으로 만 65세까지 상향

지급금액

- 본인이 낸 납입 기간, 총액, 평균소득월액에 따라 다릅니다.

- 가입기간이 길고 납입 금액이더 많을수록 더 많이 받습니다.      

 

✔️ 노령연금 신청방법

1. 신청시기: 수급 개시 연령 도달 전 6개월부터 신청 가능

2. 신청처:

- 가까운 국민연금공단 지사

- 온라인 국민연금 홈페이지

3. 필요서류:

- 신분증, 통장사본

가까운 국민연금공단
국민연금공단 사이트 바로가기

 


✅ 자주 묻는 질문!!

1. 기초연금과 노령연금을 같이 받을 수 있나요?

네, 동시 수급이 가능합니다. 다만 국민연금액이 일정 수준 이상이면 기초연금에서 일부 감액될수 있습니다.

 

2. 국민연금 가입 기간이 짧은데도 받을 수 있나요?

국민연금 가입 기간이 10년 미만이라면 일시금으로 받거나, 임의가입을 통해 기간을 늘릴 수 있어요.

 

3. 부모님이 받을 수 있을지 확인하려면?

복지로,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에서 예상 연금 조회 가능하거나,

가까운 지사 방문 후 상담받는 것이 가장 정확합니다.

    

 

든든한 노후, 지금부터 준비하세요!